티스토리 뷰
H1 수용체는 폐에서 기관지수축으로 천식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고
혈관 평활근에서는 모세관 후세정맥 확장, 말단 세동맥 확장, 정맥 수축으로, 홍반을 유발합니다.
혈관 내피세포에서는 수축과 분리를 통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부종, 팽진이 나타납니다.
말초감각신경의 과민으로 가려움, 통증이 나타나고
중추신경에서는 수면과 각성, 체온조절, 학습, 통증 등의 징후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하면, 히스타민이 우리 몸으로 방출되면
1. 혈관 확장, 삼투 증가로 국소적인 홍반과 부종을 유발합니다. 두드러기 때 팽진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기관지, 자궁 수축로 공기가 드나드는 통로인 기관지를 수축 시켜 호흡곤란, 기침을 유발합니다. 대표적으로 천식이 있습니다. 임신 중에 자궁운동을 조절해주기도 합니다.
3. 또 가려움증이 생기는데 백혈구를 자극 하여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분비합니다.
4. 네번째, 각성작용입니다. 뇌를 자극하여 잠이 잘 안 오게 합니다. 가려울 때 잠을 못자는 것과 연관성이있습니다.
5. 다섯번째, 위장관 근육 수축입니다. 미식거릴 수도 있고 소화가 잘 안 됩니다 (알레르기성 소화장애입니다.)
그러니까 이게 코 점막에서 일어나면 알레르기 비염이고,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피부에서 일어나면 피부에 염증이 생기고, 피부는 우리 몸의 보호막인데 염증이 생기면 보호막이 뚫리고 항원이 더 잘들어오겠죠? 그러면 염증이 더 가속화 되고, 보호벽이 역할을 못하면 수분이 날라가고 건조해지면서 아토피가 일어나게 되죠.
기관지에 생기면 기관지를 수축시키고 좁은 공간에 숨이 들어가니까 천식이 생기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알레르기 비염=아토피=천식이 되는 거죠. 일어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뿐입니다.
히스타민은 히스티딘으로부터 합성되며, 합성 후 저장되거나 히스타민 N-메틸전이효소(HNMT) 또는 다이아민 옥시다제(DAO)에 의해 신속히 불활성화되고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DAO는 소화기계와 세포질 내에서 산화적 탈아미노 반응을 통해 히스타민을 분해하고, HNMT는 세포질 내에서 메틸화를 통해서 히스타민을 불활성화합니다.
특히, 중추신경계에서 HNMT는 시냅스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AO에 의한 분해 경로에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DH)도 관여합니다. 이 효소들, 그러니까 DAO, HNMT, ADH)가 손상되면 히스타민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항히스타민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바로 히스타민 반응을 약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약물입니다.
첫번째 방법은 항히스타민제가 히스타민과 유사한 구조로 히스타민 수용체에 히스타민과 경쟁적으로 작용하면서 히스타민 작용 차단합니다.
두번째로, 항히스타민제가 히스티딘(histidine)을 히스타민으로 변환시키는 촉매 효소인 히스티딘 탈카복실화효소(histidine decarboxylase, HDC)의 활성을 저해하여 히스타민의 합성을 억제합니다.
H1 항히스타민제의 분류입니다. 국내 사용중인 항히스타민제로 노란색 표시를 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뇌혈관장벽 투과 여부에 따라 기능적으로 1세대와 2세대로 나뉘게 됩니다.
1세대는 지질 친화성을 가짐과 동시에, 분자량이 작고, 전하가 양성인 점을 이용해 혈액뇌장벽(BBB)를 통과하여 중추신경계(뇌)에 작용합니다.
효과가 빠르고 가격이 저렴하며 주사제로 사용 가능한 종류가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약효지속 시간이 짧아 여러 번 투여를 해야하고 졸음이나 기억력 저하 등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은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점 때문에 알러지약으로 사용할때 졸음 등 진정 부작용이 생기긴 하지만, 오히려 멀미약을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BBB를 통과해야 유리하기에 이점으로 작용합니다.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생리적 pH (약 pH 7.4)에서 쌍극성 이온이 되어 극성이 강해지므로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할 수 없어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적어졌습니다. 그래서 초기 반응이 미미할 시 권장 복용량의 4배 까지 증량할 수 있지만 5배 이상 투여한 경우엔 어지러움, 설사, 피로, 두통, 가려움증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이 역시 과남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적어 요즘은 보통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등의 알레르기 질환에서는 일차적으로 2세대 항히스타민이 추천됩니다. 대표적으로 지르텍이라는 상품명으로 익숙한 Cetirizine 세티리진이 있죠.
알레르기 반응 억제는 1세대가 더 효과적입니다.
최근에는 씨잘(levocetirizine)과 같은 3세대 항히스타민제도 사용되고 있는데 2세대 약물의 대사물이기 때문에 2.5세대 항히스타민제라고도 부릅니다. 2세대보다 더욱 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개량되어 아무 때나 복용해도 되는 장점이 있다고 하나 효과도 더 좋은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1세대 약물처럼 전문의약품이기에 넘어갑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약국
- 한약 과립 녹이기
- 신인류의 한방
- #담낭암 증상 #담낭암 기본정보 #담낭암 생존율 #담낭암 4기 #담낭암 원인 #담낭암 명의 #담낭암 3기 #담낭암 말기 #담낭암 수술 #담낭암 2기 #담낭암 치료 #담낭암과 담관암 또는 담도암은 어떻게
- #지방간에 좋은음식 #간경화에 좋은 음식 #강아지 간에 좋은 음식 #간수치에 좋은 음식 #위에 좋은 음식 #간에 좋은 영양제 #간암에 좋은 음식 #간에 좋은 즙 #간에 좋은 음료 #간에 좋은 약 #간에
- 한약 소설
- 한방의 과학화
- 한약 과립제
- #전립선암 증상 #전립선암 생존율 #전립선암 수술 #전립선암 음식 #전립선암 4기 #전립선암 수치 #전립선암에 좋은 음식 #전립선암 카페 #전립선암 3기 #전립선암 명의 #전립선암 검사 #전립선암 2
- #간암 증상 #간암 생존율 #간암 말기 #간암 원인 #간암 명의 #간암 수술 #간암 초기 #간암 치료 #간암4기 #간암2기 #간암 색전술 #간암 검사 #간암 복수 #간암에 좋은 음식 #간암말기증상 #간암수치 #
- 10년후 한방
- 과립제 먹는법
- 한약 과립
- 과립제
- #신장암 증상 #신장암 1기 #신장암에 좋은 음식 #신장암 수술 #신장암 명의 #신장암 4기 #신장암 로봇수술 #신장암 3기 #신장암 전이 #신장암 생존율 #신장암 원인 #신장암 초기증상 #신장암 폐전이
- 한약제제
- #서민금융진흥원 소액생계비대출 #소액생계비대출 후기 #소액생계비대출 부결 #소액생계비대출 입금 #긴급소액생계비대출 #소액생계비대출 추가 #소액생계비대출 100만원 #소액생계비대출 서
- #권리금 계약서 양식 #상가권리금계약서 #권리금양도양수계약서 #권리금 수수료 #권리금 계약금 #상가권리금 계약서 #학원 권리금계약서 #상가 권리금 계약서 #시설 권리금 계약서 #표준 권리금
- 한방 소설
- #위암 증상 #위암 4기 #위암 초기 #위암 원인 #20대 위암 #위암 생존율 #위암 수술 #위암 사망률 #위암초기증상 #위암1기 #위암3기 #위암2기 #초기 위암 증상 #위암 수술 후 식사 #위암 4기 생존율 #위
- #유방암증상 #유방암의증상 #유방암생존율 #초기유방암 #유방암4기 #유방암발생원인 #유방암 검사 #삼중음성유방암 #유방암 수술 #유방암 2기 #유방암 전이 #유방암 1기 #유방암 카페 #유방암 치
- 한약사
- #갑상선암 증상 #갑상선암 좋은 음식 #갑상선암 수술 #갑상선암 수술후 #갑상선암 원인 #갑상선암 전이 #갑상선암 사망 #갑상선암 수술비용 #갑상선암 재발 #갑상선암 수술후 음식 #갑상선암 로
- #신장의 기능 #간의 기능 [AMC 병법] #간의 기능 콩팥과의 비교 #간의 기능과 간성혼수 #간의 기능과 간이식 #간의 기능과 관련 질병 #간의 기능과 역할 #간의 기능과 황달 #온라인 채널과 오프라인
- #소상공인진흥공단 정책자금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재도전특별자금(2023년중소벤처기업부소관소상공인정책자금융자계획변경공고) #소상공인전통시장자금(2023년중소벤처기업부소관소상공
- 사람을 향하는 한방
- 한약과립
- #췌장암 초기증상 #췌장암 증상 #췌장암 검사 #췌장암 등통증 위치 #췌장암 원인 #하알라 췌장암 #췌장암 완치율 #췌장암 4기 #췌장암 등통증 #췌장암 변 사진 #췌장암3기 #췌장암 수술 #췌장암 통
- 한방제제
- #폐암 초기증상 #폐암 4기 생존율 #폐암 4기 #폐암 검사 #폐암 생존율 #폐암 수술 #폐암 항암치료 #폐암 치료 #폐암 치료제 #폐암 방사선치료 #폐암 신약 #폐암 완치 #폐암 병기 #폐암 약 #폐암에 좋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