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펩신, 프로테아제 차이
경희생한약국
2025. 5. 12. 21:03
펩신(Pepsin)은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의 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펩신”과 “프로테아제”는 서로 다른 개념이라기보다는 ‘전체’와 ‘부분’의 관계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릴게요. 😊
🔬 펩신과 프로테아제의 차이
구분펩신 (Pepsin)프로테아제 (Protease)
정의 | 위에서 분비되는 특정한 단백질 분해 효소 |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모든 효소의 총칭 |
소속 관계 | 프로테아제의 한 종류 | 펩신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 |
활성 pH | 산성 (pH 1.5 ~ 2) | 효소 종류에 따라 다름 (산성, 중성, 알칼리성 다양) |
생성 위치 | 위 (주로 위선의 주세포에서 생성) | 다양한 위치 (위, 췌장, 세포 외/내부 등) |
작용 방식 | 단백질 → 폴리펩타이드로 분해 | 단백질 → 펩타이드 → 아미노산 단계적 분해 |
예시 | 펩신 |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파파인 등 |
🔍 용어 정리
1. 프로테아제 (Protease)
-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총칭입니다.
- 종류에 따라 작용 환경(pH), 작용 부위, 기전이 다릅니다.
- 대표적인 분류:
- 산성 프로테아제: 펩신
- 중성/알칼리성 프로테아제: 트립신, 키모트립신 등
2. 펩신 (Pepsin)
- 위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산성 프로테아제.
- **펩시노겐(pepsinogen)**이라는 비활성 형태로 분비되어 위산(HCl)에 의해 활성화됩니다.
- 주로 식사 후 위에서 단백질을 짧은 펩타이드로 분해하여 소화를 돕습니다.
💡팁: 단백질 소화 순서 이해하기
- 입: 기계적 분해만, 효소 작용 없음
- 위:
- HCl → 단백질 구조 변형(변성)
- 펩신 → 단백질을 작은 펩타이드로 분해
- 소장(췌장에서 분비된 효소):
- 트립신, 키모트립신 → 더 작은 펩타이드
- 펩티다아제 → 아미노산으로 최종 분해
✅ 정리
- 펩신은 프로테아제의 한 종류입니다.
- 프로테아제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모든 효소를 통칭하며, 펩신은 위에서 작용하는 산성 프로테아제입니다.
- 펩신은 단백질 소화의 첫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