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코폴리아 스코폴라민 차이
경희생한약국
2025. 5. 10. 13:44
✅ 기본 개념 비교
항목스코폴리아 (Scopolia)스코폴라민 (Scopolamine)
정의 | 가지과의 식물 (Scopolia japonica 등) | 스코폴리아 등에서 추출되는 트로판 알칼로이드 |
분류 | 생약/약용 식물 | 약리 활성 성분 |
주요 성분 | 스코폴라민, 아트로핀 등 트로판 알칼로이드 | 단일 알칼로이드 |
약리작용 | 진통, 진정, 진경제 작용 (생약 전체로서) | 항콜린 작용 (멀미, 위장운동억제 등) |
사용 형태 | 생약 처방, 한약재 | 정제, 패치, 주사제 등 제제화 |
독성 여부 | 고용량 시 독성 있음 | 의약품 용도로 용량 조절 필요 |
🌿 1. **스코폴리아(Scopolia)**란?
-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과 일본 등지에 자생.
- 한방에서 천초(天草), 사천초(斯川草) 등으로 불리며, 오래 전부터 진통, 진정, 위장관 이완 목적 생약으로 사용됨.
- 주요 유효 성분으로 스코폴라민, 아트로핀, 히요사이아민 등이 포함되어 있음.
팁: 스코폴리아는 독성이 있어 한약 처방 시에도 철저한 용량 조절과 가공 처리가 필요합니다. 임의 복용은 매우 위험합니다.
💊 2. **스코폴라민(Scopolamine)**이란?
- 스코폴리아, 벨라도나, 히요스시아무스 등에서 추출되는 트로판 알칼로이드의 하나.
- 강력한 항무스카린성(항콜린성) 작용으로, 멀미 예방, 위장관 경련 완화, 진정, 동공 확대 등에 사용됩니다.
- 대표 제형: 스코폴라민 패치 (Transderm Scop) – 멀미 예방용으로 귀 뒤에 붙이는 패치
팁: 졸림, 입마름, 시야 흐림 등의 항콜린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령자나 녹내장 환자에게는 주의 필요.
📦 스코폴리아 vs 스코폴라민 용도 비교
용도스코폴리아 (생약)스코폴라민 (화학 성분)
멀미 예방 | 간접적 효과 가능 | 매우 효과적 (대표 용도) |
위경련 완화 | 전통 한약 처방 | 정제·패치로 빠른 효과 |
중추신경계 진정 | 전통적 사용 | 진정 효과 있음 |
복용 방식 | 생약 탕제, 환제 등 | 패치, 정제, 주사제 등 |
🔍 요약
- 스코폴리아는 약용 식물이며, 다양한 알칼로이드를 포함.
- 스코폴라민은 그중 하나의 성분으로, 현대 약물로 제제화되어 특정 증상에 사용됨.
- 즉, **스코폴라민은 스코폴리아의 '주성분 중 하나'**이며, 더욱 정제된 약리 효과를 위해 별도로 분리·정제한 물질입니다.
✅ 팁 정리
- 스코폴리아 생약은 자연 유래지만 강한 독성과 약리작용을 갖고 있어, 반드시 전문가 지도로 복용해야 합니다.
- 스코폴라민 패치는 멀미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장시간 사용 시 부작용(환각, 착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니 최대 사용 시간(72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